‘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라는 속담은 원인에 따라 그 결과가 생긴다는 뜻으로 사용하지만, 디지털 이미지에 한해서는 쓰인 그대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콩을 심으면 말 그대로 콩이 나는 이 원리는 어떠한 이미지에나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이미지 콩은 자연적 생육 방식과 그 과정에서 나오는 형태의 유기적 변화와는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오직 이미지를 이루는 정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작업은 자연물과 디지털 이미지의 탄생 방식, 생성 과정의 차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화된 자연물이 한 가지의 자연물 생성 방식 (나무에서 열매가 난다)을 한 가지의 디지털 이미지 변형(포토샵의 손가락 툴로 이미지를 왜곡한다)으로 모방하였을 때 나타나는 비논리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작업은 자연물과 디지털 이미지의 탄생 방식, 생성 과정의 차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화된 자연물이 한 가지의 자연물 생성 방식 (나무에서 열매가 난다)을 한 가지의 디지털 이미지 변형(포토샵의 손가락 툴로 이미지를 왜곡한다)으로 모방하였을 때 나타나는 비논리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An onion will not produce a rose”- this adage is usually quoted to show that every cause has its own result. When it comes to digital imagery however, this saying can be taken literally, and applied to any image. Of course, a digital image of an onion is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process of natural growth and the organic forms that result from it, for digital imagery exists only as a sum of the data it consists of.
This project therefore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creation and growth processes of natural and digital entities, placing emphasis on the illogicality of a digitally imaged natural object mimicking a method of natural creation (the growth of fruit) through a method of digital manipulation (distortion using the Photoshop smudge tool).
This project therefore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the creation and growth processes of natural and digital entities, placing emphasis on the illogicality of a digitally imaged natural object mimicking a method of natural creation (the growth of fruit) through a method of digital manipulation (distortion using the Photoshop smudge tool).
492856809
492859432
493069611
100가지 디지털 나무 도감
☞ ☞ ☞ 100digitaltreeforest.com
( PC로 접속 후 100가지의 디지털 나무 만나기 )

가리비 나무

고라니 나무

까치 나무

코스모스 나무

단감 나무

대파 나무

딸기 나무

마늘 나무

멜론 나무

무화과 나무

수박 나무

체리 나무

육지거북이 나무

얼룩소 나무

진돗개 나무

치타 나무

햄스터 나무

호랑나비 나무

호랑이 나무

혹등고래 나무

흰동가리 나무
본 작업은 자연물과 디지털 이미지의 탄생 방식, 생성 과정의 차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화된 자연물이 한 가지의 자연물 생성 방식 (나무에서 열매가 난다) 을 한 가지의 디지털 이미지 변형(포토샵의 손가락 툴로 이미지를 왜곡한다)으로 모방하였을 때 나타나는 비논리성에 주목한다. 디지털 나무의 비논리성은 그들이 모여 숲의 형태를 모방할 때 더욱 극대화된다.
디지털 숲 산책









